3H theraphy 하는 환자를 봤는데 자료가 정말 없더라구요...
선생님들한테 물어본 것과, 인터넷에서 본 자료들 정리해서 올립니다.
목적
SAH후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vasospasm(뇌혈관 연축) 치료 위해
*vasospasm이란
뇌혈관이 수축되거나 협소해져서 혈류가 저하되는 상태.
파열된 동맥의 혈액은 근처 혈관이 경련되고 좁아지는 것을 유발하고 뇌로의 혈류를 감소시켜 뇌손상을 초래할 수 있 다. 일반적으로 초기 출혈 후 5-8일에 발생. 2-3주 정도 지속될 수 있고 경증/중증도/중증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다.
3H란 Hypertension, Hemodilution, Hypervolemia(효능, 급성기 SAH관리 효과는 불확실하다고 하네요)
앞 글자를 따서 붙인 이름입니다.
1. Hypertension: 동맥류 결찰된 경우 SBP 160-200 목표로 하고, 결찰 안 된 경우 120-150.
부작용: 폐부종, 부정맥, 심부전 등
2. Hemodilution(혈액희석): Hct 30-35% 또는 28-30% 목표로 합니다.
cerebral blood flow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산소 운반 능력을 떨어뜨리는 단점.
3. Hypervolemia(과다 혈량): 임상에선 주로 알부민 20%, 테트라스판을 이용합니다.
혈량이 늘면 cerebral blood flow가 당연히 늘 것으로 예상했지만 효과는 미미합니다.
부작용: 폐부종, 부정맥, 울혈성 심부전, 뇌부종, 패혈증 등.
그 외 고혈당, 산증, 전해질 이상, 저산소증, 고열 등은 뇌혈관연축에 악영향을 미쳐서 초기에 교정합니다.
뇌혈관 연축 치료 다른 방법
1. 풍선 이용한 혈관 확장술(balloon angioplasty)
뇌 기저부의 비교적 두꺼운 근육층이 있는 근위부 혈관까지만 시술이 가능합니다. 원위부 혈관은 파열 위험성이 높아 시도 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혈관 폐색, 혈전 형성 등에 대해 주의해야 하는 시술입니다. 임상적으로 혈관 풍선 확장이 papaverin(말초순환장애시 사용하는 약물) 직접 동맥 내 주입보다 연축 혈과 회복 지속 유지기간이 길고 호전 정도도 높다고 알려짐. 연축 발현 2시간 이내 시행되면 그 이후 시행된 경우보다 나은 예후를 보입니다.
2. 저마그네슘혈증 있는환자가 뇌혈관연축으로 안 좋은 예후 있으므로 2주간의 지속적인 마그네슘 정맥 정주 요법 시행
3. 니모디핀: 니모디핀은 정말 많이 쓰는 약인데요 혈관 확장제입니다.
동맥류에 기인한 지주막하 출혈후의 뇌혈관경련에 의한 허혈성 신경장애의 예방 및 치료에 쓰입니다
4. 스타틴: 심혈관질환 위험을 줄이고 고지혈증 치료에 쓰입니다.
아스피린, enoxaparine(크렉산), tirilizad 등은 효과 없음.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bolism(색전증) (0) | 2020.01.02 |
---|---|
관장(enema)종류 (0) | 2020.01.01 |
4 vessels angiography (0) | 2019.12.30 |
TCD(TransCranial Dopler ultrasonography) (0) | 2019.12.29 |
CRRT(contin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0) | 2019.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