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13

DIC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파종 성 혈관 내 응고 (DIC)는 과도한 트롬빈의 생성 및 미세 혈관 혈전 (동맥혈, 정맥, 모세 혈관)의 형성과 이 과정에서 응고인자들이 소진되어 지혈 작용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못하고, 이 때문에 조절되지 않는(지혈되지 않는) 출혈이 발생하는 증후군이다. 원인 DIC는 감염, 혈액 악성 종양, 산부인과 질환, 외상, 동맥류 및 간 질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원인 질환은 감염병과 악성 질환이다. 감염병의 경우 세균이 혈액 내에서 직접 분비하는 독소가 응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흔하고, 몇몇 종양 질환에서는 종양 세포 자체의 작용으로 일어난다. 화상 및 허혈 손상은 혈관벽이 파괴되면서 조직 내의 물질이 .. 2020. 1. 8.
Na/K 불균형 정리 Na+(Sodium) 많으면 체액 과다한 상태. 적으면 체액 부족한 상태. 정상 범위 135-145mmol/L 저나트륨혈증: 수분섭취 과다, 이뇨제 사용, 신부전증, 요붕증, 울혈성 심부전, 간경화, 구토, 설사. 갑상선 기능 저하증, 췌장염, 과도한 발한/출혈일반적으로 1L 당 125mmol/L 미만 저하 되기 전까지는 의미 있는 증상x. 뇌세포 안으로 수분 이동하면 뇌부종 초래(두통, 오심 구토, 흥분, 의식장애, 정신이상, 사망)-> 고농도 나트륨수액(3%NaCL)으로 일정한 속도로 투여. 자주 피검사. 서서히 교정. 증상 경미: NaCL투여. 심한 탈수. 고혈량성 환자. 고나트륨혈증: 다량 수분손실, 심한 탈수. 고혈량성 환자->물 보충. NaCL 가능. 너무 빠르게 교정 안함. K+(Potass.. 2020. 1. 7.
환자 파악하다가 내가 몰랐던 거/정리 3VD(3vessel disease): SVC, AO PA(superior vena cava, aorta, pulmonary artery) TNT: Creatinine 검사보다 조기 검출. 심근 경색 3-5시간 후 고농도. 12-18시간 후 최고치. 7-10일 유지. ProBNP: 뇌성나트륨이뇨펩타이드(brain natriuretic peptide) 체액/혈압조절에 중요한 역할. CHF(cardioheart failure) 중증도에 비례 상승함. 심기능 평가. 정상: 100pg/ml 미만. NT-proBNP, BNP로 나누어져 혈액순환함. 심실벽 확장, 용적 과부하 있을 때 분비 증가. BNP는 수용체 결합/특정 효소 작용에 의해 제거됨. RASS조절, 신장 심장의 교감신경 활동 감소, 신장 혈류 증가,.. 2020. 1. 6.
칼슘채널차단제(CCB) calcium channel blocker 1. DHP계열(dihydrophridine): -pine으로 끝나는 애들 nifedipine, nicardipine. 혈관확장제. 항고혈압제. 2. non-DHP계열: 심근작용. 심박수 떨어뜨림. 혈관 확장성도 DHP와 비슷. 심근+혈관에 작용. 심근 수축력 감소. Diphenyl alkylamine: verapamil Benzothiazepine: diltiazem 기전: 칼슘이 세포막에 들어오면 근육이 수축하는데 칼슘이 아예 들어오지 못하게 막으니까 근육 수축을 못하게됌. 질환 적응증 1. 협심증: 산소 확부, 수축력을 감소시켜서 심장에 대한 산소 요구량을 감소시킨다. 고용량 단기 CCB 반동 형성해서 심근 경색 일으킬 수도. 고용량, 단기적으로는 사용 안.. 2020. 1. 5.
검체 순서 간단하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하/연하->빨/노->초/연초->보->회색 순서. /그은것 끼리는 순서 바껴도 상관없음. Test: PT/INR-wafarin PT/aPTT-heparin 정확한 채혈량 중요. 연하: 1.8cc, 하늘색: 2.7cc 3-4회 가볍게 믹싱 test: routine chemistry: electrolytes, glucose, renal&liver&thyroid function, lipids, cardiac markers hormones, vitamins, serology 6번 믹싱 clot activator gel 들어있음. 30분 clotting time 필요. Test: ABO. antibody test. AST. 보관검체. 빨&노: 3-4cc 윗 부분 빨간색 안에만 검은색으로.. 2020. 1. 3.
Embolism(색전증) 정의: 여러 부유물이 혈관강 일부 또는 전부를 막은 상태. 정맥성: 주로 폐에 생김. 혈류 반대 방향으로 생길 수도 있다. 동맥성: 류마티스 식내막염 있을 때 뇌색전 일으킬 수도 있다. 공기 색전증: 기포가 동맥을 따라 순환하다 혈관을 막는 것. 기포가 관상동맥으로 가서 막으면 심근경색이나 심정지 일으킬 수도 있다. 뇌혈관으로 들어가면 뇌 공기 색전증, 뇌경색 발생. 대부분 정맥을 통해 폐로 들어가 폐포에서 기포가 걸러져 밖으로 배출돼 해결이 되지만 많은 양의 기포가 발생하거나 심장 또는 뇌로 들어가면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 증상: 의식소실, 호흡장애, 어지러움, 오심, 구토, 발작, 운동마비, 운동이상 진단: CT/MRI 치료: 분압 높은 산소 투여. 머리 아래로 한 좌측와위. 동맥 공기 색전증은 똑바.. 2020.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