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란?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으로 인한 만성적인 환기장애.
만성기관지염이 심해지면 폐기종을 야기한다.
폐기종 |
폐 탄력성 손상과 폐 과잉팽창으로 호흡곤란, 호흡수 증가 과팽창한 폐가 횡격막을 편평하고 약하게 만듦→호흡 시 목, 흉벽, 복부의 보조근육 사용→산소와영양소필요증가→숨가쁨→ 호흡곤란 |
만성기관지염 |
1년에 3개월 이상 만성적인 객담 동반한 기침 유발 저산소혈증, 호흡성 산증 초래 기ㅣ관지벽이 두꺼워져 기도폐쇄 |
흡연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고, 유전, 대기오염, 감염 등이 있다.
COPD는 체내에 산소량은 줄고 이산화탄소 비중이 늘게됨.
정상인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자극이 되어 호흡을 조절한다.
COPD환자의 경우 CO2에 대한 민감성이 떨어지면서 호흡 조절이 어려워진다 폐색성 폐질환을 앓는 경우 산소 농도에 따라 호흡중추가 자극되고, 호흡이 조절된다.
-> 간호사 면접 준비할 때 책에 자주 나왔던 것 같은데 짧게 요약해서 고농도의 산소는 호흡 중추를 마비시키기 때문에 copd 환자에게는 저농도의 산소를 제공한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3H theraphy (0) | 2019.12.31 |
---|---|
4 vessels angiography (0) | 2019.12.30 |
TCD(TransCranial Dopler ultrasonography) (0) | 2019.12.29 |
CRRT(contin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0) | 2019.12.28 |
수혈(blood transfusion)제제 종류 (0) | 2019.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