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투석실에서 사용하는 지속적 신 대체 요법. CRRT. 첨엔 프라이밍 돌리는 것도 어려워서 계속 유튜브 봐도 못해서 선생님들한테 많이 혼났는데 이젠 척척함 ㅎㅎ 우리 병동엔 저 Prismaflex랑 FMC(새로운거) 있는데 FMC는 유튜브/인터넷에 없다... 아무튼 CRRT에 대해서 알아보자
CRRT 적응증
비폐쇄성 핍뇨(urine output<200ml/12hr) 또는 무뇨증
심한 산혈증(대사성 산증 원인): pH<7.1
질소혈증, 폐부종, 고칼륨혈증, 응고장애
Renal indications: 급성 신부전을 동반하는 경우, 동반하는 심혈관계기능의 이상이 있는 경우, 뇌부종을 수반하는 뇌출혈 및 뇌경색 환자, 다량의 용액을 주입해야 하는 급성신부전 환자의 경우 등
Nonrenal indications: 패혈증, 급성 호흡부전, cardiopulmonary bypass 시행하는 경우, 횡문근 융해증, 난치성 울혈성 심부전, 선천성 대사장애 질환, 중증 lactic acidosis 등
CRRT 기본 원리
대류(convection): 압력 차이로 용매가 이동할 때 수동적으로 용질도 같이 이동함. 용매+용질.
확산(diffusion): 고농도->저농도 영역으로 용질의 수동적 이동. (용질의 농도차에 의해 이동)
확산속도 빠름
- 두 용질 농도경사 클수록
- 용질 분자량이 작을수록
- 반투막 두께가 얇을수록
- 막 표면적이 클수록
- 용액 온도가 높을수록
- 세공의 크기가 클수록
- 세공의 수가 많을수록
흡착(absorption): 막 안쪽이나 표면에 부나가 흡착
초미세여과(ultrafiltration): 압력 경사에 의해 반투막을 통한 용매(수분)의 용적 이동. 투석막을 경계로 한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압력 차이를 크게 하기 위해 혈액 부분을 높은 양압으로, 투석액 부분을 음압으로 유지하여 초여과율을 높인다.
CRRT mode
1. Continous filtration (지속적 혈액여과)
- CAVH(continuous arteriovenous hemofiltration): 특별한 펌프 없이 동맥 정맥 혈압 차에 의한 흐름
- CVVH(continuous venovenous hemofiltration): 혈압 차가 거의 없어서 펌프에 의해 돌아감
수분제거&replacement 필요. 용질(용액)은 대류에 의해 제거됨. replacement solution 속도 조절 가능. 투석액 사용X. 높은 여과율.
Predilution method |
blod clotting 위험 감소.농도 차에 의한 확산 속도는 감소되고 여과, 대류 속도는 증가. 혈액 점성을 낮출 수 있어 필터를 오래 쓸 수 있다. 혈액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대상자 적용.항응고요법 덜 필요. 초여과율과 용질 제거율 높다 |
Postdilution method |
replacement 느려짐. 초여과율 저하로 보충액의 요구량이 적게 들지만 혈액 농도를 증가시켜 여과막의 응고 발생 증가. 주로 fluid와 전해질 손실 대체.
|
2. CVVHD(continuous venovenous hemodialysis (지속적 정정맥 혈액투석): 확산에 의해 용질 제거.
투석액은 혈액 반대 방향으로 흐름. 혈액은 아래로. 투석액은 위로. 고질소혈증 심한 환자에게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3. Continous hemodiafiltration (지속적 혈액투석 여과): 확산과 대류에 의해 용질 제거. 가장 효과적,
- CAVHDF
- CVVHDF
카테터
투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분당 400ml의 혈류를 감당할 수 있는 큰 혈관을 이용함.
대퇴정맥, 쇄골하정맥, 내경정맥.
대퇴정맥은... 경험상 crrt 하다 보면 clot 생겨서 새로 세트 깔고 다시 프라이밍 하거나 function이 안돼서 쇄골하 정맥/내경정맥으로 다시 잡는 경우도 있습니다. perm 잡았을 때 대퇴정맥 잡고 온 환자보면 주의해야 겠다는 생각부터 들어요. 대퇴정맥 라인 환자는 다리 움직이지 않게 발목 보호대 적용하고, 라인이 꼬이거나 막하지 않도록 perm 부위 위에 모래주머니 대기도 해요.
CRRT monitoring
Access: 항상 negative prssure(-50~-150mmHg)
Return: 항상 positive pressure(+50~+150mmHg)
Filter: 항상 positive pressure(+100~+250mmHg). 가장 양압이 많이 걸리는 부위.
TMP(transmembrane pressure): 수분이 반투성 막을 통해 혈액에서 투석액쪽으로 액체를 제거하는 힘. 혈액 쪽 압력에서 투석액 쪽 압력을 뺀 값.
프라이밍 하는 법은 유튜브에 많이 있으니 찾아보시고.....
재순환 하는 방법은 유튜브에 하나도 없어서 어려워요ㅠㅠ
방법은 알겠는데 매번 직접 겪으면서 알아야 되니까 많이 혼나기도 하고..휴...
아무튼 화이팅이에요!!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3H theraphy (0) | 2019.12.31 |
---|---|
4 vessels angiography (0) | 2019.12.30 |
TCD(TransCranial Dopler ultrasonography) (0) | 2019.12.29 |
수혈(blood transfusion)제제 종류 (0) | 2019.12.26 |
COPD환자 저농도 산소 치료 이유 (0) | 2019.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