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혈
성분: 적혈구, 혈장, 백혈구, 혈소판
적응증: 급성출혈/대량 출혈 시 혈액 보충, 산소 운반 능력 제공(1pint마다 Hct 3-4%증가)
유효기간 1~6도. 28~35일
주입시간 2~3시간
2. 적혈구 농축액(packed RBC)
임상에서는 전혈보다는 적혈구 농축액을 많이 사용해요. 전혈로 수혈하는 경우는 한 번도 보지 못했어요..
성분: 전혈 원심분리/침전시켜 혈장성분 80% 이상 제거한 적혈구
적혈구, 소량의 혈장, 백혈구, 혈소판
적응증: 급성 혈액 손실(수술, 외상, 위장출혈 등)
만성 혈액 손실(빈혈, 출혈성 위궤양, Hb, Hct 저하 등)
유효기간: 1~6도. 채혈일로부터 35일간.
주입시간: 2~4시간
3. 동결 해동 적혈구(frozen deglycerolized RBC)
글리세롤을 적혈구에 첨가해 얼리고, -85도에서 저장. 수혈 전 해동해 다양한 세척 절차로 글리세롤 제거
적응증: Rh(-)/ 희귀혈액 장기보존, 장기간 자가수혈 위해 보관 시
유효기간: 1-6도. 24시간
4. 백혈구가 적은 적혈구(leukocyte poor RBC)
원심분리법, 세척, 여과 등의 방법을 통해 과립 백혈구 제거한 적혈구. RBC, 극소량의 WBC
적혈구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적응증: 백혈구/혈소판 항체 생겨 백혈구 수혈 시 부작용 많은 대상자.
5. 혈장- FFP, Cryoprecipitate
FFP(fresh frozen plasma)
전혈 중 혈장만 4시간 내 냉동 분리시켜 6시간 이내 동결시킨 혈장. 혈액응고인자 포함하고 있음.
적응증: 응고 인자 필요한 대상자(INR 올라간 경우, DIC, 대량 출혈) *INR 정상수치: 0.8-1.2
유효기간: 18도. 12개월. 냉장 보관. 임상에서 수혈 시 혈액은행 갈 때 얼음 가지고 가야함.
주입시간 30분 이내. 상온에 있을 수 있는 시간 30분(예를 들어 3pint 맞는 경우 한 pint당 10분씩 줘야하고, 6pint 맞는 경우 한 pint당 5분씩 줘야함). full drop으로 줍니다.
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
성분: 응고인자 8, 12, fibrinogen이 풍부
적응증: 응고인자 8, 12, fibrinogen이 부족한 대상, 혈우병, DIC
유효기간: 30도, 1년.
주입 시간: 10-15분
6. 혈소판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전혈 중 혈소판이 80-90%. 헌혈 후 4시간 이내 원심분리해 RBC 제거.
적응증: 점상출혈, 자반증, 비출혈, 정맥출혈.
유효기간: 20-24도(실온보관. 임상에서 수혈 시 혈액은행 갈 때 얼음 없이 가야함. 6시간(채혈 후 6시간 이내 분리)
혈소판 농축액(PC. platelet concentrate)
혈장 50ml 속 약 500억개 platelet.
적응증: 혈소판 수가 20,000이하로 감소된 대상자. 백혈병/재생불량성 빈혈, 항암제 치료, 악성종양 골수침범, 원발성 골수형성 부전
유효기간: 20-24도. 72시간 보관 가능
주입시가 30분 이내(FFP와 같은 방식을 줍니다)
혈소판 페레시스(Platelet pheresis. =SDP)
공여자에게서 혈소판과 혈장만 제거되거 나머지 성분은 공여자에게 되돌려짐. PC 6-8pint와 가다.
적응증: 혈소판 기능 이상자.
유효기간: 22도. 3~5일
주입시간: 30~1시간 주입(full drop)
백혈구 여과 제거 성분 혈소판(LRSDP)
헌혈자로부터 혈액성분 채혈기를 이용해 얻은 황색/황갈색의 백혈구를 제거한 액상제제.
적응증: 혈소판 감소증/혈소판 기능 장애 환자의 출혈예방/치료. 자주 혈소판 수혈 받을 경우 혈소판 수혈 불능 예방하기 위해.
유효기간: 20-24도. 30분 이내 주입. (full drop)
임상에서는 Packed RBS, PC, FFP 수혈을 가장 많이 하고, LRSDP 종종 있고, 다른 종류 수혈은 아직 못 봤습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3H theraphy (0) | 2019.12.31 |
---|---|
4 vessels angiography (0) | 2019.12.30 |
TCD(TransCranial Dopler ultrasonography) (0) | 2019.12.29 |
CRRT(contin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0) | 2019.12.28 |
COPD환자 저농도 산소 치료 이유 (0) | 2019.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