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칼슘채널차단제(CCB)

by RN베리굿 2020. 1. 5.

calcium channel blocker

 

1. DHP계열(dihydrophridine): -pine으로 끝나는 애들

  nifedipine, nicardipine. 혈관확장제. 항고혈압제.

 

2. non-DHP계열: 심근작용. 심박수 떨어뜨림. 혈관 확장성도 DHP와 비슷. 심근+혈관에 작용. 심근 수축력 감소.

Diphenyl alkylamine: verapamil

Benzothiazepine: diltiazem

 

기전: 칼슘이 세포막에 들어오면 근육이 수축하는데 칼슘이 아예 들어오지 못하게 막으니까 근육 수축을 못하게됌.

 

질환 적응증

1. 협심증: 산소 확부, 수축력을 감소시켜서 심장에 대한 산소 요구량을 감소시킨다.

고용량 단기 CCB 반동 형성해서 심근 경색 일으킬 수도.

고용량, 단기적으로는 사용 안함

 

2. 당뇨: 당뇨 앓으면 혈압 상승함. ACE, CCB, ARB 많이 씀

 베타 차단제는 당뇨 발생을 일으킬 수도 있어서 잘안씀

 

3. 천식 환자: CCB 많이씀. 기관확상시켜서.

베타차단제는 오히려 기관지 좁아질 수도 있다.

 

4. 말초혈관질환

 

 

verapamil: 협심증, 상심실성빈맥, 두통 줄이고 두통 예방. 방실 차단 시 심박수 떨어뜨림

 

심방세동시 diltiazem, verapamil사용해서심박수감소시킴.

rate control. dipine 계열은 심장 효과가 없어서 dipine 계열 안씀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K 불균형 정리  (0) 2020.01.07
환자 파악하다가 내가 몰랐던 거/정리  (0) 2020.01.06
검체 순서  (0) 2020.01.03
Embolism(색전증)  (0) 2020.01.02
관장(enema)종류  (0) 2020.01.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