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VD(3vessel disease): SVC, AO PA(superior vena cava, aorta, pulmonary artery)
TNT: Creatinine 검사보다 조기 검출. 심근 경색 3-5시간 후 고농도. 12-18시간 후 최고치. 7-10일 유지.
ProBNP: 뇌성나트륨이뇨펩타이드(brain natriuretic peptide)
체액/혈압조절에 중요한 역할. CHF(cardioheart failure) 중증도에 비례 상승함. 심기능 평가.
정상: 100pg/ml 미만. NT-proBNP, BNP로 나누어져 혈액순환함. 심실벽 확장, 용적 과부하 있을 때 분비 증가.
BNP는 수용체 결합/특정 효소 작용에 의해 제거됨.
RASS조절, 신장 심장의 교감신경 활동 감소, 신장 혈류 증가, 신장 집합관에 직접 작용해서 나트륨 분비 증가.
NT-proBNP는 반감기 60-120분. 신장 통해서만 제거됨. 현재는 BNP 검사 많이함.
허혈성 심질환 종류
1. 협심증: 안정형, 변이형
2.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불안정 협심증, 급성심근경색(STEMI, NSTEMI)
3. 심장 돌연사
STEMI: 심근 공급하는 주요 혈관이 막혀서 발생함. 즉시 관상동맥 중재술 또는 혈전용해술 시행
흉통 발현 후 12시간 이내면 재관류치료(관상동맥 성형술-풍선확장술,스텐트삽입술
관상동맥우회술)
NSTEMI: 응급 재간류술X. 약물치료. 고우험군 12-24hrs 이내 간상동맥중재술/관상동맥우회로술.
저위험군 약물치료
FENa: 염분소실 있는 만성 신장병, 부신기능저하 있는 경우 1%이상.
LC(A): alcoholic.
(B): hepatitis B
(C): hepatitis C
Transudate: 삼출물
BPH: benign prostatic hyperplagia. 전립성비대증. 한글로는 아는데 영어로는 맨날 까먹어.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C (0) | 2020.01.08 |
---|---|
Na/K 불균형 정리 (0) | 2020.01.07 |
칼슘채널차단제(CCB) (0) | 2020.01.05 |
검체 순서 (0) | 2020.01.03 |
Embolism(색전증) (0) | 2020.01.02 |
댓글